성명

[ ]

2022년 11월 17일 언론개혁의 불씨가 타 올랐다. 오늘 오전 9시 22분을 기해 <언론자유와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위한 법률 개정 국민동의청원>이 성립됐다. 5만명의 시민이 본인인증 절차를 거쳐 국민동의청원에 참여했다. 추락하는 언론자유를 더 이상 두고만 볼 수 없다는 시민들이 팔 걷어붙이고 나선 결과다.

[ ] MBC

MBC에 대한 광고 탄압 발언을 당장 거둬라   MBC에 대한 전용기 탑승 배제, 국세청 추징금 520억원 부과에 이어 이번엔 광고 탄압이다. 17일 국민의힘 비대위 회의에서 차마 믿기지 않는 발언이 나왔다. 국민의힘 김상훈 비대위원은 “윤 정부는 광복절에 대기업 총수를 비롯한 사면을 단행했는데 MBC의 각종 프로그램은 대기업 광고로 도배되고 막대한 수익을 거두고 있고, 광고제품 불매 운동 동참한 분들은 삼성 등이 동력 제공하는...

MBC

MBC에 대한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의 노골적 탄압이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인 김상훈 의원은 오늘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MBC 광고 불매를 공개적으로 압박하고 나섰다. 집권 여당 지도부가 대놓고 광고주를 압박해 MBC를 망하게 하겠다고 선언한 것과 다름 아니다. 유신 시대, 군사독재 시절에나 있었음 직한 일들이 2022년 대한민국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 어처구니없는 현실이다.

[ ] ,

대한민국 공군1호기가 끝내 MBC취재진을 태우지 않고 이륙했다. 대통령실이 순방을 이틀 앞둔 9일 밤 MBC취재진 동행 거부를 발표하자 각계에서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대통령실 기자단, 이들이 소속된 현업언론단체, 언론시민단체와 외신기자들까지 한 목소리로 윤석열 대통령실의 반헌법적 조치를 규탄했다. 눈과 귀를 닫은 윤석열 대통령실은 “비행기만 태우지 않는 것이지 취재 제한은 아니”라는 얼토당토 않은 변명과 함께 MBC취재진을 배제한 순방을...

[ ]

어제(9일) 늦은 밤 대통령실은 MBC 취재진에 대해 동남아 순방 전용기 탑승을 불허한다고 통보했다. 대통령실이 권력비판을 이유로 특정언론사에 대해 취재 제한 및 전용기 탑승을 배제하는 것은 대한민국 헌정사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언론탄압이자 폭력이며, 헌법이 규정한 언론자유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다.   대통령실의 이번 조치는 대통령의 해외순방 욕설 비속어 파문, 이태원에서 벌어진 비극적 참사에 대한 무책임한 대응...

[MBC ] ,

윤석열 대통령의 동남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대통령실이 MBC 취재진의 전용기 탑승을 불허한다고 통보했다.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황당한 발상이고, 노골적인 언론 탄압이자 겁박이다. MBC 기자들은 이를 강력히 규탄하고 몇 가지 사실 관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먼저, 전용기는 대통령의 사적 소유물이 아니다. 국민의 세금으로 구입하고 운영하는 나라의 자산이다. 출입기자단의 탑승은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정당한 취재...

MBC ,

언론노조 MBC 본부는 대통령실의 이번 조치는 군사 독재 시대에도 찾기 힘든 전대미문의 언론탄압이자 폭력임을 밝힌다. 대통령 전용기는 윤석열 대통령의 사유재산이 아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시대착오적 언론관. 반헌법적·폭력적인 취재 제한 조치, 즉시 취소하라

[ ] ( )

정말 목불인견에 아전인수가 이만할까? MBC충북 한기현 사장이 휴일 심야에 올린 입장문을 보면, 본인은 엄청 잘하고 있는데 노조가 발목잡고 노조가 잘못했다는 식이다. 한 사장의 삐뚤어진 노동 인식이 가득 차 있음을 방증할 뿐이다. 먼저 ‘지부의 비협조’로 언급한 사실 관계부터 바로잡고자 한다.

[ ] MBC

사장은 노사의 신뢰를 바탕으로 경영을 이끌어가는 자리이며, 한기현 사장의 ‘입장’은 도저히 현재 MBC충북 사장 자리에서 밝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합심하여 노력해도 모자랄 판에 왜곡된 노사인식과 악의적인 비방으로 노사의 신뢰와 상생논의의 틀을 깨트린 한기현 사장에 대해 우리는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자신의 ‘입장’에 대해 사과하고, 조합을 진정한 상대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한기현 사장 앞엔 파국만이 남을 것이다.

최근 MBC 충북 한기현 사장은 전국언론노동조합 MBC 본부와 16개 지역사가 진행 중인 ‘2022년 임금 공통협상’에서 본인이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 ‘교섭권 위임 철회’로 공통협상에서 빠지겠다는 취지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표명했다고 한다. 임금교섭 테이블이 제대로 돌아가기 전에 직원들의 기본적인 근로조건인 ‘임금’을 볼모로 ‘협박’부터 한 것이다.